728x90
반응형

천안함 2

천안함 희생자는 용사야 영웅이야?

북한의 공격에 대비하여 연안의 해상경계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 초계함 천안함에서 잠자다가 북한의 공격으로 몰살당한 군인들을 영웅이나 용사로 부르는 것이 합당한 호칭인가? 네이버 어학사전에는 용사(勇士)는 용맹스러운 사람 혹은 용감한 군사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영웅(英雄)이란 지혜와 재능이 뛰어나고 용맹하여 보통 사람이 하기 어려운 일을 해내는 사람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천안함에서 잠자다가 북한의 공격으로 사망한 승조원은 용사라던가 영웅이라고 할 만한 군인으로서의 행동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자... 잠자다가 북한의 공격에 꼼짝없이 당하여 사망한 천안함 승조원은 어디에 속하는가? 적의 공격으로 사망한 군인들을 대상으로 조롱 수준의 말장난을 일삼는 정치모리배들의 작태를 보고 들으면서 횡설수설해보았다. ..

雜說 2023.03.29

서해 수호의 날 - 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서해 수호의 날은 대한민국의 기념일로 3월의 넷째 금요일이다. 2002년에 발생한 제2 연평해전, 2010년에 발생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년에 발생한 연평도 포격 등 서해에서 발생한 북한의 도발을 기억하고 북한의 공격으로 희생된 국군을 추모하고 국민의 안보의식을 결집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하였다. 2016년 박근혜 정부에서 지정되었으며 서해수호의 날이 3월 넷째 주 금요일인 이유는 북한의 공격으로 해군 46명이 사망한 천안함 피격 사건(2010년 3월 26일 금요일)이 있었던 날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천안함 피격은 잠자다가 북한의 공격에 찍소리 못하고 당한 사건 아닌가? 북한의 공격에 대응하다가 죽은 사건도 아니고 그냥 자다가 죽은 사람을 영웅이라고 하는 건 우습지 않냐? 전투하다가 죽어간 진짜..

시사 2022.03.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