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집단주의 2

집단주의 (集團主義, Groupism)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이익을 더 중시하는 사상이다. 여러 사람이 모여서 상호 협력하여 살아야 잘 산다는 사상이며 집단주의는 개인주의의 반대어이기도 하다.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기본 원칙이며 북한 헌법에는 개인주의를 부르주아 사상이라 배척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사회주의 독재자나 군사독재자들은 독재정권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민을 집단화시키고 조직화시킨다. 사회주의는 독재를 전제로 하는 정치 체제이다. 집단주의의 단점 1. 다른 집단이나 개인에 대하여 난폭해지고 잔인해진다. 2. 집단에 이익이 된다면 규정을 어기고 불법을 저지르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3. 침묵을 미덕으로 여기고 말이 없어야 이해한다고 생각하고 화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4. 집단주의는 선과 악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

일상다반사 2021.03.22

개인주의 (個人主義, Individualism)

개인주의는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하고 권리를 중시하는 사상이다. 나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권리도 존중하는 사상이다. 집단이나 국가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이 우선하는 사상이다. 1,2차 세계대전과 수많은 전쟁을 겪으면서도 국가는 계속되지만 수많은 개인들은 죽어서 사라지고 부상당하여 도태되는 것을 보면서 국가나 집단은 개인을 지켜주지 못한다는 경험에서 발전해온 사상이다. 개인주의는 집단 주의자들인 군사독재자, 사회주의 독재자들에 의해 이기주의와 동일한 것처럼 왜곡 비방되어 왔다. 군사독재나 사회주의 독재는 대중을 집단화시키고 조직화시켜야 독재권력을 유지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는 결코 양립할 수 없는 것이다. 개인주의는 자유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사상이다. 개..

일상다반사 2021.03.20
728x90
반응형